본문 바로가기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하긴 현장에 나가 기아와 관련된 일은 자신의 천명으로 알고 일하는 사람에게소속이 어디인가가 뭐 그렇게 중요하겠는가?우석훈, 경제학자, '내가 꿈꾸는 나라' 공동대표가 이책의 저자 장지글러에 대해 하는 생각입니다.장지글러가 UN이라는 국제기구에 속해 일하는 활동가라고 칭합니다. 그러면서 소속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얼마 전 인터넷에서 '사회복지 공무원은 사회사업가 인가?' 라는 글을 읽었습니다.글쓴이는 사회복지 공무원 이었고 자신이 사회사업가라는 것에 확신이 없어보였습니다. 소속이 뭐 그렇게 중요하겠는가, 참으로 와 닿는 말입니다. 2016. 12. 9.
11월 독서 모임 # 2016. 11. 15.(월)# 8월부터 다섯 번 모임을 가졌습니다. 3주에 한 번씩 만납니다. 사회복지사 책모임 "일단 한 번 해보자!" 하는 자신감과 "하면 진짜 된다!" 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있습니다.마지막으로 모두에게 제안합니다.사회사업가로 살아가며 어떻게 실천해야 할지 모를 때, 답답할 때는 일단공부합시다. - 봉화군청 사례관리전문요원 정현전 - 우리 사회복지사 공무원이 누구인지, 어떻게 사회복지사로서 정체성을 붙잡아가며 공공현장에서일해야 할지 함께 가까운 동료와 차라도 한 잔 하면서 이야기하는 게 그 숙제를 푸는 첫 단추일 것이다. - 임실군청 임정숙 - 2016. 12. 7.
사회복지사 공무원? '사회복지전담 공무원은 사회사업가가 아닐까요?'라는 글을 읽고 사회복지를 배우고 실천함에 있어 사회사업의 가치를 가지고 뜻있게 일한다면 사회사업가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최근에는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읍면동 복지허브화 등으로 공무원 조직에서 사회사업을 실천하기에 더 좋은 구실이 되고 있습니다.자리에 앉아 있지 않고 동네를 돌아다니며 주민들을 만납니다. 사례관리 또한 읍면동에서 합니다. 하루는 저녁식사 자리에서 수급, 차상위 등 사회보장급여를 조사, 책저하는 직원이 선배에게 물었습니다.신청을 했으나 조건이 맞지 않거나 본인, 부양의무자의 소득증가 등으로 급여가 중지되는 분들의 전화가 오거나 직접 찾아오면 한결같이 "너무나 힘들다. 죽어버릴겠다."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합니다.이런 말을 들으니 마음이 불편하.. 2016. 12. 7.
교육 #2011. 11. 22.충청남도 사회복지협의회 제2차 신규 근무자 과정 / 충청남도 공무원 교육원 #2015. 9. 17.2015년 5기 사례관리 과정 / 사회보장정보원 # 2015. 10. 20.찾아가는 복지실현을 위한 방문복지 기초실무 교육 / 상명대학교 #2015. 11. 02.2015 민관협력 휴먼서비스 슈퍼비전 사례발표 / 상계종합사회복지관서울여자대학교 김혜련 교수 #2015. 12. 09.읍면동 사례관리 담당자 교육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2016. 05. 19.2016 서울시복지재단 민관 통합사례관리(주거분야) / 서울시복지재단 #2016. 06. 17.2016년 민관협력휴먼서비스 슈퍼비전 사례발표 / 중계종합사회복지관숭실대학교 강미경 교수 #2016. 08. 30.2016년 복지직무 .. 2016. 12. 6.
주말 캠핑 2016. 11. 5.